발행: 2022-11-02수정: 2025-04-02

다우존스 지수

다우존스사 공동설립자 찰스 다우는 19세기 말 다우존스 평균을 개발했다. 1885년 2월 16일 자본규모가 크고 활발한 12개 종목(철도 10종목, 산업주 2종목)의 평균 주가를 매일 발표하기 시작했고 4년 뒤에는 종목수를 20개(철도주 18종목, 산업주 2종목)로 늘렸다.

이후 산업회사와 제조회사들이 철도회사보다 중요해지자 1896년 5월 26일 다우존스 산업평균(DIJA)를 만들어냈고 기존 지수를 재구성하여 1896년에는 10월 26일 철도평균(Rail Average)으로 명칠을 바꾸었다. 1916년 산업평균 구성 종목이 20개로 늘어나고 1928년 현재와 같은 숫자인 30종목으로 증가했다. 철도평균은 1970년 명칭이 운송평균(Transportation Average)로 바뀌었고 구성 종목은 100여 년 전과 마찬가지로 20개로 유지되고 있다.

초기 다우 종목들은 면화, 설탕, 담배, 납, 가죽, 고무 등 원자재 관련 회사들이었다. 12개 회사 중 기존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금까지 존속하는 회사는 6개이고 기존 회사명으로 다우지수에 여전히 남아 있는 회사는 GE 하나뿐이다.

이 지수는 스탠다드 앤 푸어스 글로벌이 대주주로 있는 S&P 다우존스 인덱스에서 관리되며 구성 종목은 위원회에서 선정한다.

산출방식

원래 다우지수는 구성 종목의 주가를 모두 더한 다음 이를 구성 종목 수로 나누어 산출했다. 그러나 그동안 구성 종목이 변경되거나 주식분할이 발생하기도 했으므로 분모를 조정하여 지수의 일관성을 유지해왔다. 따라서 회사의 규모에 상관없이 주가가 높은 종목일수록 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2013년 11월 기준 비자 주가는 200달러여서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가 넘지만 주가가 가장 낮은 시스코는 비중이 1%에도 못 미친다.

다우의 개

배당 수익률이 가장 높은 10개 종목을 흔히 '다우의 개'라고 부릅니다. 모든 주가와 마찬가지로 구성 종목의 가격과 지수 자체의 가치는 각 기업의 실적과 거시경제적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역사적 다우지수 변동


토픽: 주식시장
카테고리: 위키/경제
상태: 소행성

이 페이지가 도움이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