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 2025-04-02수정: 2025-04-05
Note-writing practices provide weak feedback

일반적인 노트 작성법은 피드백이 부족하다

주의

본 내용은 앤디 미투삭의 노트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대부분의 노트 작성법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이지 않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노트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제대로 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분산 반복 학습(spaced repetition) 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매일 즉각적이고 분명한 피드백을 얻는다. 잘못된 질문을 만들었다면 곧바로 그것이 문제라는 것을 깨닫게 되고, 이후 반복적으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특정 주제에 대한 자신의 기억력이 점점 좋아지는 것을 명확하게 느낄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노트 작성법은 피드백이 매우 느리고 불분명하다. 보통 노트를 작성한 뒤 몇 주가 지나기 전까지는 그 노트를 다시 보지도 않게 되며, 설령 특정 노트가 어떤 통찰을 얻게 하는 데 도움을 주거나 혹은 전혀 도움을 주지 못했더라도, 그런 결과를 명확하게 알아차리기 어렵다.

게다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트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작성한 노트가 제대로 된 노트인지 아닌지도 판단하기 어렵다.

반면 에버그린노트는 더 빠르고 명확한 피드백 루프를 제공한다. 끊임없이 과거의 노트를 다시 읽고 수정하기 때문에, 특정 노트가 제대로 쓰이지 않았을 때 이를 비교적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또한, 『글쓰기를 위한 실행 가능한 전략』을 활용하면 노트 작성 과정에서 보다 즉각적이고 강력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토픽: 앤디 미투삭
소스: 링크
카테고리: 스크랩/아티클

이 페이지가 도움이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