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 2025-04-02수정: 2025-04-02
주의

본 내용은 앤디 미투삭의 노트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글을 쓰면서 추측적 개요 만들기

새로운 노트를 작성할 때, 당신이 관리 중인 하나 이상의 개요(outline) 에 그 노트를 추가하세요. 필요하다면 새로운 개요를 만들어도 됩니다. 이렇게 하면 상당 부분 완성된 글쓰기 프로젝트가 자연스럽게 생겨납니다.

보통 우리는 글쓰기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개요부터 만듭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우리를 빈 페이지 앞에 서게 만들죠. 반면, 매일 새로운 노트를 작성하고 그것들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 관찰하면, 이 노트들은 점차 하나의 잠재적 글쓰기 프로젝트로 축적될 수 있습니다. 개요가 “익었다”고 느껴지는 순간, 우리는 그것을 따서 원고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는 처음부터 빈 페이지에서 시작할 때처럼 큰 노력이 들지 않습니다.

이미 작성된 노트를 개요로 유지하는 일은 비교적 쉽습니다. 그냥 노트 두 개를 비교하며 “어느 것이 먼저 오는가?”라고 자문하면 됩니다. (피어시그의 방법)

게다가, 글쓰기 프로젝트를 빈 개요에서 시작하려면, 주제와 어떤 관점을 취할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어야 하죠. 하지만 우리는 노트를 이용해 미리 정해진 결론을 피할 수 있습니다


토픽: 앤디 미투삭
소스: 링크
카테고리: 스크랩/아티클

이 페이지가 도움이 되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