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 2025-03-24수정: 2025-04-04
effecto kuleshov
쿨레쇼프 효과
몽타주란 하나의 쇼트가 그 자체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앞뒤 쇼트와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의미나 감정을 만들어낸다는 내용의 이론이었으며, 레프 쿨레쇼프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한다.
- 한 배우의 무표정한 얼굴을 찍는다.
- 다른 대상들을 촬영한다.
- 각각의 대상과 배우의 얼굴을 이어지게 편집해서 붙인다.
- 각기 다른 대상과 편집한 얼굴들을 각각 다른 관객들에게 보여준다.
- 관객들에게 배우가 연기하는 감정이 무엇인지 설명하도록 한다.
실험에 사용된 대상들은 따뜻한 스프, 관 속의 아이, 소파 위의 여인이었으며, 각각 허기짐, 슬픔, 사랑을 느꼈다고 답했다. 레프 쿨레쇼프는 이 대답을 통해 편집을 통하면 배우의 연기마저 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몽타주의 기본 개념을 확립하였다. 이 실험은 후대에 쿨레쇼프 실험 또는 배우의 이름을 따 이반 모주힌 실험이라고 불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