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 2025-04-02수정: 2025-04-02
Evergreen notes should be atomic
에버그린 노트는 하나의 핵심 아이디어만 담아야한다.
주의
본 내용은 앤디 미투삭의 노트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에버그린 노트를 작성할 때는 가능한 한 하나의 아이디어만 다루되, 그 아이디어의 핵심을 온전히 담아내는 것이 가장 좋다.
이렇게 하면 서로 다른 주제나 맥락 사이에서 연결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만약 노트가 너무 광범위하면, 그 안에 포함된 특정 개념과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견했을 때 쉽게 알아채지 못하거나, 다른 노트와의 연결이 불분명해질 수 있다. 반대로 노트를 너무 세세하게 쪼개면 연결망 자체가 과도하게 분산되어서 중요한 연결점들을 놓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에버그린 노트는 서로 촘촘히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균형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은 없으며, 각자 상황에 맞게 장단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말하는 ‘관심사의 분리(separation of concerns)’ 원칙과 유사하다. 이 원칙은 소프트웨어 모듈이 하나의 명확한 기능만 담당해야 다른 곳에서도 쉽게 재사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반대로 모듈을 지나치게 잘게 나누면 모듈 간의 응집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에버그린 노트의 제목들은 일종의 API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